onepiece.kr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 > onepiece5 | onepiece.kr report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 > onepiece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nepiece5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02:18

본문




Download :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hwp




1343년(충혜왕 복위 4) 원나라 사신이 왕을 잡아가자 사면을 요청했고, 이듬해 삼사판사에 복직, 서연관이 되었다. 1336년 삼중대광영예문관사에 오르고 1339년 심양왕 고가 원나라에 충숙왕을 모함하자 연경(燕京)에 가서 해명하고 돌아왔다. 이듬해 동덕협의찬화공신에 오르고 1353년 사직했다가 이듬해 우정승에 재임, 1356년 문하시중에 올랐다. 같은 해 충선왕이 모함으로 유배되자 원나라에 그 부당함을 밝혀 1323년 풀려나게 하였다.
1348년(충목왕 4) 왕이 죽자 제조경사도감으로 원나라에 가서 충정왕의 승습(承襲)을 요청했고,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자 우정승·권단정동성사가 되고 도첨의정승을 지냈다. 이듬해 광정대부밀직사사에 승진, 1325년 추성양절공신이 되고 정당문학으로 김해군에 봉해졌다.




순서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



『작가론』익재이제현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유용하게 쓰세요...^^*


1.이제현의 생애

2. 이제현의 문학
* 백성에 대한 관심과 애착은 그가 남긴 시
*〈桃源歌(도원가)〉라는 タイトル(제목) 의 악부에서의 애민의식

3. 현실적 삶의 작품 실례 6가지 비교 분석

4. 낭만적 삶의 작품 실례 4가지 비교 분석

5. 익재가 우리문학에 끼친 influence(영향)

본관 경주(慶州). 자 중사(仲思). 호 익재(益齋) ·역옹(翁) ·실재(實齋). 초명 지공(之公). 시호 문충(文忠). 1301년(충렬왕 27) 성균시에 장원하고 이어 문과에 급제했으며 1303년 권무봉선고판관과 연경궁녹사 등을 지냈다. 저서에 《효행록(孝行錄)》 《익재집(益齋集)》 《역옹패설(翁稗說)》 《익재난고(益齋亂藁)》 등이 있다
2. 이제현의 문학
이제현은 고려 후기 무신 집권기가 끝나고 …(To be continued )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1.gif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2.gif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3.gif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4.gif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5.gif 『작가론』%20익재%20이제현에%20관한%20고찰_hwp_06.gif

Download :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hwp( 55 )




유용하게 쓰세요...^^*『작가론』익재이제현 , 『작가론』 익재 이제현에 관한 고찰...경영경제레포트 ,
다. 당대의 명문장가로 정주학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조맹부의 서체를 도입하여 유행시켰다. 1308년 예문춘추관에 등용되고 제안부직강을 역임했다.
1316년 진현관제학이 되고, 1320년 지밀직사에 올라 단성익찬공신)이 되었다. 그 후 사직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다가1362년 홍건적의 침입 때 왕을 청주로 호종, 계림부원군에 봉해졌다. 공민왕 묘정에 배향, 경주의 귀강서원(龜岡書院)과 금천(金川)의 도산서원에 제향되었다. 이듬해 내부부령 풍저감두곡을 거쳐 1314년 원나라에 가서 조맹부 등과 고전을연구하였다. 이듬해 사헌규정, 1310년(충선왕 2) 선부산랑, 이듬해 전교시승 ·삼사판관 등을 거쳐 1312년 서해도안렴사가 되고 성균악정 ·풍저창사를 지냈다.
전체 9,4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nepiec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