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 / 제13장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 1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9:36본문
Download : 거시경제학의 제 학파.hwp
그러나 IS-LM모형은 케인즈의 모형을 정형화한 것이지만 곡선의 기울기에 대한 가정을 함으로써 고전학파의 theory(이론)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통화론의 초기형태는 바로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이다. 케인즈의 단순모형은 케인즈의 특수한 가정을 반영한 모형이므로 매우 케인즈적인 모형이다. 제13장 거시경제학의 제학파 ԡ.1. 통화론(Monetarism) 통화론(monetarism)은 거시경제학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있어 화폐(통화량)의 역할을 강조하고 이를 중심으로 파악하는 입장을 말한다. 먼저 프리드만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통화론에 대해 살펴보고 새고전학파에 대해 살펴보며 고전학파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는 공급측면경제학에 대해 살펴본다. 경제학의 제학파는 제3장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가격의 신축성을 믿는 고전학파와 가격의 경직성을 강조하는 케인즈학파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그러나 이들 각 학파의 견해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를 띄고 있다아 따라서 이 장에서는 제3장의 개관을 확대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AD-AS모형도 역시 일반적인 형태로 도출하였으며 각 곡선의 형태와 이동요인에 대해 학자들에 따라 많은 견해차이를 보이고 있다아 이제 우리는 AD-AS모형을 중심으로 각 학파간의 견해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13장 거시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 13.2 새고전학파 13....
Download : 거시경제학의 제 학파.hwp( 37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13장 거시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ԡ.2 새고전학파ԡ.3 공급측면경제학ԡ.4 새케인지안 개 요이제까지 거시경제문제를 analysis(분석) 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모형에 관련되어 자세히 살펴보았다. 현재 거시경제학의 주류는 케인지안(Keynesian)이므로 이들의 theory(이론)에 대해 비판적인 고전학파의 theory(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화폐수량설의 내용과 의미에 관련되어는 이미 10.2절에서...
제13장 거시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 13.2 새고전학파 13....
[경제경영]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 / 제13장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 13.
순서
설명
경제경영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 / 제13장 거시 경제학의 제 학파13.1 통화론 13.





다. 제5장-제6장에서는 케인즈의 단순승수모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11장에서는 케인즈의 모형을 정리(arrangement)한 IS-LM모형을 살펴보았으며 제12장에서는 AD-AS모형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