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업무의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2:52
본문
Download : 간호업무의상징적상.hwp
실제적으로 모든 상징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징은 공통의 혹은 공유된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따
Ⅱ. 상징적 상호작용理論(이론)
설명
◈ 사회와 사회조직은 사람들 간의 대면적인 상호작용(face-to-face interaction)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징은 ‘사람들에게 학습된 의미와 가치를 지닌 자극이며, 상징에 대한 인간의 reaction(반응)은 감각 기관에 대한 상징의 물리적인 자극에 근거한다기보다는 상징이 갖는 의미와 가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Download : 간호업무의상징적상.hwp( 63 )
1. 최남희 -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理論)과 정신간호, 대한간호20(3), 1981
간호 역할 역할이론 상징 상호작용





11. 김수지 - 역할이론(理論), 대한간호22(2), 1983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중심에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위와 의미를 구성한다고 하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따 사람들은 상징을 통해서 상호작용 한다.
Ⅲ. 역할理論(이론)(Role Theory)
13. Peter Woods 저 ; 손직수 譯 - 학교사회학, 원미사, 1998
Ⅳ. reference Ⅰ. 서론
Ⅱ. 상징적 상호작용理論(이론)
◈ 사회관계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끊임없이 alteration(변화) 하고 재구성된다. 이러한 미드의 理論(이론)은 상호작용理論(이론)의 세 가지 유형. 즉 상징적 상호작용理論(이론), 역할理論(이론), 교환理論(이론) 등의 탄생에 기초가 되었다. 그러므로 간호행위는 간호사의 독단적인 의사결정에 의해서 시행되기 보다는 환자와 함께 협의하여 시행하는 것이 보다 윤리적이며 效果적이라고 믿어지고 있따 (김후자, 1987: 이소우, 1978: 홍여신, 1982)
4. 이선옥;김영임 공저 - 기초간호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3
5. 김경동 -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1997
순서
10. 김병성 - 교육사회학 관련이론(理論), 양서원, 1990
간호 역할 역할이론 상징 상호작용 / Ⅳ. 참고문헌 1. 최남희 -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과 정신간호, 대한간호20(3), 1981 2. 이소우외 4인 -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1997 3. 김수지 - 간호이론, 1985 4. 이선옥;김영임 공저 - 기초간호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3 5. 김경동 -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1997 6. 김기삼;전정태 공저 - 사회학의 이해, 삼영사, 1997 7. 사라 네틀턴 지음;조효제 옮김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한울, 1997 8. 문창진 - 보건의료 사회학, 신광출판사, 1990 9. 조나단 터너 저;정태환 역 - 현대 사회학이론, 나남, 2001 10. 김병성 - 교육사회학 관련이론, 양서원, 1990 11. 김수지 - 역할이론, 대한간호22(2), 1983 12. 김소야자 - 역할이론, 간호학탐구4(1),1995 13. Peter Woods 저 ; 손직수 譯 - 학교사회학, 원미사, 1998 ()
상호작용은 인간 상호간에 일어나는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인 교통과 접촉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따 전문직업인으로서 간호사는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의 성장과 발달, 자아실현을 돕고, 당면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상황에 대한 보다 나은 適應을 촉진하게 된다.
()
간호理論(이론)을 통해 보면 간호는 일반적으로 간호사와 개인사이의 대인 관계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돕는 과정으로 나타나있따 간호실무에 대인관계의 본질이 의학과 Nursing 을 구별하게 해주는데, 관계적 상호작용이 일차적인 기능을 하고 기술이나 의학적 중재는 대인 관계적 상호작용의 보완으로 본다.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데 있어 상황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정이하고 합리적인 실행방법을 강구하며, 공동행위의 내용을 재구성하게 된다. Ⅰ. 서론
3. 김수지 - 간호이론(理論), 1985
7. 사라 네틀턴 지음;조효제 옮김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한울, 1997
2. 이소우외 4인 - 간호이론(理論)의 이해, 수문사, 1997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의미는 어떤 용어로 표현되면서 실제 행동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가치는 의미에 대해 느끼는 학습된 매력이나 반감이다. 사물이나 인간행동의 의미를 해석하는 힘, 즉 상징이 인간의 가장 key point(핵심) 적인 특성(特性)이라 할 수 있따
간호 역할 역할이론(理論) 상징 상호작용 / Ⅳ. Reference List
9. 조나단 터너 저;정태환 역 - 현대 사회학이론(理論), 나남, 2001
다. 이들 중 상징적 상호작용理論(이론)은 참여자들이 각각 상대의 행동을 예견하려고 노력하고 거기에 자신의 행동을 適應시키는 상징적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역할理論(이론)은 지위의 구조와 개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정이할 때 수반되는 기대에 초점을 맞춘다. (Peggy L.Chinn & Maeona K. Kramer,2000)
12. 김소야자 - 역할이론(理論), 간호학탐구4(1),1995
상호작용理論(이론)은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理論(이론)으로부터 처음 한다고 할 수 있따 미드는 인간행행동의 사회적 구조와 인간의 생물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상호작용 과정을 연결시켰다.
◈ 사회관계는 다른 사람의 기질과 성향을 파악하는 데서 비롯된다.
간호업무의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理論)
6. 김기삼;전정태 공저 - 사회학의 이해, 삼영사, 1997
1.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
인간에게 동물과는 다른 능력이 있음을 인정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을 캐려는 것이 상징적 상호작용론이다.’ (Rose, 1962).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8. 문창진 - 보건의료 사회학, 신광출판사, 1990
간호는 도움이 필요한 환자와, 환자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는 간호사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