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08:30
본문
Download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2).hwp
더 읽어보니 돈의 문제가 아니었다. 덴마크가 부러운 점은 입사와 취직에 있어 압박이 없다는 것이다. 2008년에는 7년이었고 점점 줄어들어 2년까지 오게 되었다. 다른 한 권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행복의 조건을 묻다. “장점(長點)만 실린 책”이라고 감히 평해본다. 덴마크 사회의 행복의 비결을 취재한 내용을 담은 책으로, 상당한 부분에서 강한 긍정을 보인다. 독서토론을 위해 구입한 책이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2년 후에도 직장을 잡지 못하는 경우, 그 지원은 사회적 기업으로부터 나온다. 위에 언급한 제도는 단지 재취직을 도우면서 압박감을 없애주는 것이다. 70%정도를 지원한다고 한다.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뛰어나…(drop)
레포트/감상서평
우리도,행복할,수,있을까,감상서평,레포트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나서
설명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나서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다. title(제목)에서도 유추가 가능하듯이 덴마크의 사회처럼 우리도 행복한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인데, 구체적인 ‘한국식’ 실천measure(방안) 은 언급되지 않았다. 직업을 선택할 때에도 본인이 가장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으로 오랜 고민 끝에 결정한다. 두 말 모두 옳았다.
Download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2).hwp( 11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고쓰기
과외 선생님에게 진보성향이 강한 오마이뉴스의 사장인 ‘오연호’가 쓴 책이므로 비판적 읽기가 필요하다고 일러주셨다. 덴마크의 drawback(걸점)은 책의 극 후반에서 紹介(소개)되지만, 덴마크의 사회 제도가 문제가 아닌, 그것을 위협하는 문제들만 제기가 되었다. 먼저 읽은 친구도 덴마크를 찬양하는 책이라고까지 표현했다.`를 선택했는데, 선택지의 있었던 다른 책들의 title(제목)을 연관지어보니 행복이 주제인 것 같다. 1년 내 재취직율이 약 50%가 되니, 얼마나 해고를 두려워하지 않는 지 알 수 있다아 직장 내에서도 직원들은 공공연하게 더 나은 직장으로 가기를 원하며 사장들은 그런 직원들을 붙잡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덴마크 사회의 여러 모습들을 다채롭게 실은 덕분에 여러 가지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아 가장 놀라웠던 점들 중의 하나가, 직장을 다니다가 나왔을 경우 국가에서 기존 월급의 90%를 지원해주고 다시 직장을 잡을 수 있도록 program을 이용하여 도와준다는 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