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곤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09:27
본문
Download : 윤곤강론.hwp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윤곤강론
들어가며
한 젊은 시인의 요절
- 서준섭, “오일도와 윤곤강의 시”, <한국현대시사연구>, pp. 428~437
순수시로의 때늦은 귀환
- 김용직, “계급의식과 그 이후”, <한국 현대시사>, pp. 187~212
고전의 재생을 꿈꾼 해방기의 시인
- 임선묵, “윤곤강과 <살어리>”, <근대시조집의 양상>, pp. 394~405
각 평론의 비교 analysis
마치며
순수시로의 때늦은 귀환
- 김용직, “계급의식과 그 이후”, <한국 현대시사>, pp. 187~212
등장 초기에 비평을 위주로 활동했던 곤강은 기본적으로 카프 내부 논쟁에 있어서 최극단의 강경파였다. 심지어 그는 카프의 실패原因으로 “文化(culture) 주의적 경향”, 즉 예술성에 얽매이는 태도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더불어 그의 이러한 경직된 이념추구성, 격렬한 실천지향성이야말로 자기 스스로의 출신 성분(成分)과 경력에 대한 보상 …(省略)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윤곤강론.hwp( 86 )
문학개론
문학개론 , 윤곤강론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다. 예술성을 고려하는 시인이라기 보다는 철저하게 실천의 방법을 고민하는 현장 운동가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태도는 철저하게 시사적이며 동시에 추수주의적(사대주의적)이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많다. 특히 을 통해서 그는 그 理論(이론) 자체가 바로 실천을 위한 당파성과 이데올로기를 위해서 안출된 것이라고 理論(이론)의 대두 배경을 강조하는 면모를 보인다. 요컨대, 곤강의 강경한 이념우선주의의 태도는 카프 내부에서도 가장 극렬한 수준에 있었던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 논쟁은 박영희와 김기진의 논쟁으로 이미 촉발된 것이기는 했으나, 그에 있어서도 곤강의 지적 정도의 극단적인 실천성을 結論짓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