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말다듬기 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14:10
본문
Download :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hwp
때문에 한자에 바탕을 둔 한자어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고유어로 바꿀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소위 말다듬기 사업인 것이다.북한의_말다듬기_사업3 ,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설명
북한의_말다듬기_사업3
언어관▶ 일반적으로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고의 바탕이며 인품을 가늠하는 척도로 보는데 반해 북한은 언어를 ‘경제와 culture,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서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분야에서 힘있는 무기’로 보는 도구적 언어관을 가지고 있다아 그리하여 언어정책의 방향과 민족어 교육에 있어서도 사회의 전체적 맥락과 일관되게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목적과 맞물려 통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아
스타트▶ 1946년에는 한글 전용 정책의 일환으로 신문이나 잡지 등 모든 매체에서 모든 한자를 배격하고 순 한글만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한자나 외래어 등의 사대주의적 언어 요소를 배격하게 되었다.
,공학기술,레포트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의 과정과 결과를 紹介(소개)해 놓았다.
Download :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hwp( 58 )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의 과정과 결과를 소개해 놓았다. 여기에 앞장선 기관은 내각 직속의 국어사정위원회와 사회과학원 어학원 산하 18개 전문용어 분과위원회였다. 이 기관들은 자기들 내부에서 가능한 것은 내부적으로 결정하여 다듬은 말을 정하였…(skip)
다. 그리하여 언어의 민족적 특성(特性)을 살리고, 현대의 요구에 맞게 하며, 외래적 요소를 배격하고 어휘체계를 고유어체계로 바로잡는 방향으로 어휘정리(整理) 작업을 하게 된다
과정▶ 흔히 culture어 운동으로 일컬어지는 말다듬기 사업은 언어학자들에 대한 김일성의 제2차 교시(1966)가 있었던 60년대 중반부터 북한 전역에서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